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25

ETF의 단점 알아보기, 무조건 유리하지 않아요 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주식 거래소에 상장되어 더 편리하게 사고팔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인덱스 펀드입니다. 주식 시장은 잠깐 주춤하더라도 꾸준하게 상승한다는 믿음이 생긴 뒤로 최근 들어 지수를 추종하는 이런 ETF들이 인기를 끌게 되었습니다. ETF가 이렇게 인기를 끌며 어디선가는 무조건적으로 ETF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하다라고 할 정도로 ETF는 장점이 많은 상품입니다. 하지만 투자에서 무조건 유리한 것은 절대 없으며 장점이 존재하면 단점이 반드시 존재합니다. ETF의 단점 ▶지수와의 오차 발생 첫번째 단점으로 지수를 추종하는 ETF의 경우 지수를 완벽하게 따라가 주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ETF에서는 지수를 따라가기위해 관련 종목을 담아 운영하게 되는데, 모든 종목을 담.. 2022. 8. 16.
주식 유상증자 무상증자란, 쉽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주식 시장을 경험하다 보면 종종 어느 기업에서 유상증자를 실시한다 또는 무상증자를 실시한다는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여기서 증자란 주식을 발행하고 있는 기업에서 새로운 사업을 확장할 때 또는 기존에 진행하던 사업에 보충이 필요할 때 자금을 모으기 위하여 하는 일을 말하고 있습니다. 증자는 크게 유상증자와 무상증자로 나뉘게 되는데, 경우에 따라 악재가 되기도 반대로 호재가 되기도 합니다. 이번에는 이런 증자 정보를 받아 제대로 된 투자를 할 수 있도록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의 뜻을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상증자의 의미와 배정방식 유상증자는 자본을 보충하기 위해 기업에서 주식을 새로 발행하여 돈을 받고 파는 증자 방식을 말하고 있습니다. 유상증자의 경우 앞에서도 말했듯이 전망이 .. 2022. 8. 11.
성일하이텍 공모주 청약 방법, KB증권 안녕하세요. 지난해부터 주식을 하지 않더라도 공모주라는 말을 들어봤을 정도로 공모주 열풍이 불고 있습니다. 공모주에 대한 기대가 높은 만큼 최근 진행했던 공모주들은 따상상은 아니더라도 따상까지는 해줄 정도로 주린이들에게 소소한 수익금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이제는 주식을 하는데에 필수라고 불리는 공모주, 매일 공모가 진행되는 것이 아니다 보니 공모주를 알아보고 싶어도 타이밍이 맞지 않으면 직접 경험해보기 힘들어 오늘 7월 18일부터 진행되는 성일하이텍 공모를 통해 공모주 청약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모주 청약 먼저 공모주란, 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을 진행할 때 투자자들을 모집하기 위해 청약을 통해 공개 모집을 진행하고 일정 기간 후 모인 금액을 바탕으로 주식을 나누어주는데 이때 나눠주는 주식.. 2022. 8. 11.
해외주식 소수점 투자의 장점과 단점 정리 안녕하세요. 최근 주식시장이 하락을 잠시 멈춰주면서 다시 한번 주식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습니다. 경제와 관련된 뉴스를 챙겨보는 저는 대학생과 사회초년생을 대상으로 어느 시장에 투자를 하는지에 관해 설문을 진행한 기사를 하나 보게 되었습니다. 결과는 시장의 크기 차이 때문에 당연한 것일 수도 있지만 해외주식이 압도적으로 많았는데요. 저의 경우도 국내 시장에는 초기를 제외하고 손을 대 보지도 않았을 만큼 경험이 거의 없습니다. 모든 사람이 같은 이유로 해외 시장에 빠지는 것은 아니겠지만 제가 해외주식으로 투자를 시작한 이유는 간단하게 더 크고, 다양한 주식이 많다는 이유였습니다. 하지만 사보고 싶은 해외주식을 하나만 생각해도 국내에 비해 결코 적은 금액이 아니었습니다. 당시에는 이런 이유로 어쩔 수 없.. 2022. 7. 11.
상한가와 하한가, 따상의 의미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주식 시장을 경험하다 보면 흔하게 상한가를 쳤다, 하한가를 쳤다는 말을 자주 보고 듣게 됩니다. 또한 운이 좋은 경우 직접 상한가를 경험하기도 합니다. 상한가, 하한가의 의미 먼저, 상한가와 하한가는 기본적으로 가격제한폭 제도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가격제한폭 제도란, 주식시장에서 하루 동안 개별 주식의 가격이 오르거나 내릴 수 있는 범위를 정해놓은 제도입니다. 이러한 제도로 인해 국내에서는 전날의 종가를 기준으로 해당 주식의 가격이 30%가 오르거나 내리면 그 종목은 하루 동안 거래가 중지가 되고 있습니다. 이때 전날 종가를 기준으로 30%가 올라가면 상한가, 상을 쳤다고 말을하고 반대로 하락을 한다면 하한가를 쳤다고 부르고 있습니다. 상한가와 하한가는 사실 해외 시장으로 주식.. 2022. 7. 7.
ETF와 일반 펀드의 차이 알아보기 저는 약 2주 전 ETF가 무엇인가를 설명하는 글을 하나 작성했었습니다. 그렇다면 ETF와 일반적인 펀드의 차이점을 알고 계신가요? 아마 가장 큰 차이점은 투자를 하는 방식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 외에도 투자를 진행하는 금액의 차이, 그에 따른 거래 수수료에 대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에는 이런 비슷하면서도 조금은 다른 ETF와 일반 펀드의 차이점에 한번 설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ETF와 일반 펀드의 차이점 펀드의 의미 먼저, 펀드의 사전적 의미는 특정한 목적을 위해 모아진 자금을 자산운용회사가 투자자들을 대신해 운용하는 금융 상품입니다. 이렇듯 일반적인 펀드는 증권사, 은행 등의 자산운용회사에서 판매를 하며 투자자에게 투자금을 받아 직접 운용하게 됩니다. 즉, 투자자가 직접 펀드를 판매하는 운용사에.. 2022.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