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에서 대부분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은행은 오프라인 지점을 운영하지 않는다는 특성 때문에 은행의 전용 자동화기기가 운영되는 365코너 또한 운영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로 인해 인터넷 은행의 이용자는 다른 은행이나, 편의점 등에 설치된 ATM을 이용해야 하고, 이때 적용되는 수수료와 한도는 은행마다 차이가 존재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케이뱅크의 ATM 수수료와 한도에 대한 정보를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케이뱅크 ATM 수수료
우선 케이뱅크의 ATM 수수료는 거래방식과 관계없이 모두 면제되고 있습니다. 다만, 해당 글을 작성하는 시점인 2025년 3월까지의 경우 거래 시 수수료가 면제되는 ATM이 케이뱅크 브랜드의 자동화기기와 은행권의 자동화기기, GS25 편의점에 설치된 자동화기기로 한정되었는데요.
케이뱅크에서는 2025년 4월을 기점으로 수수료 면제 대상 자동화기기를 확대한다는 것을 안내했으며, 4월부터는 국내의 모든 자동화기기가 면제 대상으로 적용되면서 ATM의 브랜드와 관계없이 ATM에서 거래 시 수수료가 모두 면제됩니다.
구분 | 수수료 면제 대상 |
2025년 4월 이전 | 케이뱅크 브랜드 기기, 은행권 기기, GS25 기기 |
2025년 4월 이후 | 국내 모든 자동화기기(CD/ATM) |
ATM 수수료 면제 횟수
케이뱅크에서는 2025년 4월 이후 거래 수수료는 면제하는 ATM을 확대하는 대신, ATM 수수료 면제 횟수에 제한을 걸기로 했습니다. 이때 면제 횟수는 거래방식과 관계없이 월 30회인데요.
이에 따라 2025년 3월까지는 수수료 면제 대상 ATM에서 거래 시 거래 횟수와 관계없이 수수료가 모두 면제되지만, 2025년 4월 이후에는 ATM 거래 시 30회의 거래 횟수 이후 다음과 같은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구분 | 케이뱅크 브랜드 기기 | 은행권 기기 | 기타 VAN 기기 |
입금 | 무료 | 은행별 상이 | 1,500원 |
출금 | 700원 | 1,100원~1,250원 | |
이체(10만원 이하) | 500원 | 1,300원 | |
이체(10만원 초과) | 1,000원 | 1,500원 |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케이뱅크 브랜드 기기의 경우 면제 횟수가 적용되지 않으며, 거래 횟수와 관계없이 무제한으로 거래 수수료가 면제됩니다. 여기서 케이뱅크 브랜드 기기는 케이뱅크 로고가 부착된 브랜드의 ATM을 의미합니다.
케이뱅크 ATM 한도
ATM에서 거래할 때는 은행마다 정해진 한도 내에서 거래가 가능한데요. 케이뱅크에도 ATM에서 입금, 출금, 그리고 이체할 수 있는 한도가 정해져 있으며, 각 거래방식에 따라 적용되는 한도는 다음과 같으니, ATM 거래 시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카드거래 한도
구분 | 1회 한도 | 1일 한도 |
출금 | 100만원 | 600만원 |
입금 | 100만원 | 제한 없음 |
이체 | 600만원 | 3,000만원 |
무카드거래 한도
구분 | 1회 한도 | 1일 한도 |
출금 | 100만원 | 100만원 |
이체 | 600만원 | 1,000만원 |
무통장거래 한도
구분 | 1회 한도 | 1일 한도 |
입금 | 50만원 | 100만원 |
계좌당 수취 한도 | 300만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