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국민을 대상으로 지급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지급이 지난 21일 시작되었고, 현재는 요일제가 운영되어 본인의 출생연도 끝자리에 맞춰 신청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필자도 출생연도 끝자리에 맞춰 오늘 소비쿠폰을 신청해 봤는데요. 이번 글에서 필자가 이용했던 카카오뱅크의 민생지원금 신청 방법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카카오뱅크 민생지원금 신청 방법
기본적으로 민생지원금(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오프라인에서 카드사와 연계한 은행의 영업점에 방문하거나, 주민센터에 방문해 신청할 수 있고, 온라인에서는 본인이 보유한 카드의 카드사와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토스),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에서 신청이 지원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카카오뱅크에서는 '결제가 가능한 본인 명의의 카카오뱅크 체크카드'를 소유하고 있다면 모바일 카카오뱅크 앱을 통해 민생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는데요. 일반적인 신청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카카오뱅크 앱을 실행하고, 전체 메뉴로 이동합니다.
2. 전체 메뉴에서 추천의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하기'를 선택합니다.
3. 관련 정보를 확인하고, 다음을 선택합니다.
4. 화면에 표시된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안내사항을 확인하고, '모두 확인'을 선택합니다.
5. 본인의 정보를 바탕으로 조회된 총 지원금액을 확인하고,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하기'를 선택합니다.
6. 마지막으로 화면에 표시된 메시지의 안내를 확인하고, '신청하기'를 선택하면 카카오뱅크를 통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신청이 완료됩니다.
신청 후 민생지원금의 지급일
민생지원금은 신청 완료 후 다음날 지급됩니다. 이는 카카오뱅크뿐만 아니라 카드사와 지역사랑상품권 등 신청 방법에 관계없이 모두 동일하며, 필자와 같이 카카오뱅크로 민생지원금을 신청한 경우 지원금이 지급된 후 문자 메시지로 지급이 완료되었다는 안내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카카오뱅크의 경우 소유한 모든 체크카드를 통해 지급된 민생지원금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특정 카드를 지정해 지원 금액을 지급받는 것은 불가합니다.
민생지원금 사용처
민생지원금의 사용처는 전통시장과 동네마트, 식당, 의류점, 미용실, 안경점, 교습소, 학원, 약국, 의원, 프렌차이즈의 가맹점 중 연 매출 30억원 이하에 해당하는 매장인데요.
이에 해당하는 매장에서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매장'과 같은 문구의 안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카카오뱅크의 경우 지원되지 않으나, 국민카드나 신한카드, 비씨카드, 농협카드 등에서는 다음과 같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화면에서 주변 사용처를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니, 필요에 따라 이용해 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