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정보 / / 2025. 2. 6. 01:47

2025년 전북형 청년활력수당 지원대상, 기간, 신청 방법 정리

반응형

전북특별자치도는 미취업 청년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취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매년 청년활력수당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2025년에도 해당 사업의 진행을 위한 모집 일정이 안내되었고, 이에 따라 이번 글을 통해 2025년의 전북형 청년활력수당에 대한 지원대상과 기간, 신청 방법 등의 내용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전북형 청년활력수당이란?

전북형 청년활력수당은 전북특별자치도 내에 거주하는 미취업 청년의 구직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으로, 경제적 지원과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청년들의 사회진입을 돕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2025년 전북형 청년활력수당 지원대상

전북형 청년활력수당 사업은 전북특별자치도에 거주 중인 미취업 청년을 지원대상으로 하고 있는데요. 2025년의 경우에는 2월 3일 공고문이 발표되었고, 공고일 기준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전북특별자치도이면서 연령, 취업 여부, 소득기준 등 아래의 기준에 충족하는 인원이 지원대상에 해당합니다.

구분 내용
연령 2024.12.31. 기준 18세 이상~39세 이하(1985.1.1.~2006.12.31.)
거주지 공고일 기준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전북특별자치도
미취업(미창업) 공고일 기준 미취업(미창업) 상태
소득기준 가구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학력 마지막으로 졸업한 학교를 최종학력으로 간주(재학생 참여 불가)

※ 미취업 상태의 경우 근로 시간이 30시간 미만이면서 직전 3개월 평균 급여가 1,307,410원(세전) 이하인 경우에도 인정되며, 미창업 상태의 경우 사업자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인정됩니다.

※ 소득기준은 2024년 10월부터 2024년 12월까지의 평균 건강보험료 고지 금액이 가구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의 건강보험료 고지 금액 이하인 경우에 충족됩니다. 기준 중위소득 150%에 대한 사항은 아래의 표를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2024년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산정기준, 기준 중위소득 150%

 

선정인원

이번 전북형 청년활력수당은 14개 시군에서 총 2,000명의 인원을 모집합니다. 각 시군에 따라 모집인원의 차이가 존재하며, 시군별 모집인원은 아래의 표를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시·군 모집인원(명) 시·군 모집인원(명)
전주시 884 진안군 16
군산시 292 무주군 18
익산시 320 장수군 14
정읍시 94 임실군 18
남원시 66 순창군 20
김제시 72 고창군 38
완주군 112 부안군 36

 

지원내용

전북형 청년활력수당의 지원자로 선정되는 경우 매월 50만원씩 6개월간 총 300만원을 지원받게 됩니다. 이때 지원금은 '전북청년 함께 도전 카드'를 통해 지급되며, 4월 중 사전교육이 이루어진 후 4월 21일 1차 지원금이 지급되고, 이후 2차 지급부터 6차 지급까지는 매월 1일 지원금이 전북청년 함께 도전 카드로 지급됩니다.

구분 내용
청년활력수당 총 300만원(월 50만원)
지원금 지급 방식 전북청년 함께 도전 카드로 지급
1차 지급 4월 21일(사전교육 및 필수교육 이수자)
2차~6차 지급 매월 1일

 

2025년 전북형 청년활력수당 모집기간

2025년의 전북형 청년활력수당은 공고문이 발표된 2025년 2월 3일을 시작으로 2월 28일 17시까지 모집이 이루어집니다. 다만, 모집 인원이 미달되는 경우에는 시군별 추가 모집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지원자 선정 및 발표

2025년 전북형 청년활력수당의 지원자 선정과 발표는 2025년 3월 31일 월요일 18시에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때 선정 여부는 해당 일자에 시군 홈페이지에 게재된 자료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며, 선발자에게는 별도로 문자가 발송될 예정입니다.

 

2025년 전북형 청년활력수당 신청 방법

2025년 전북형 청년활력수당은 기존과 동일하게 전북형 청년활력수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이때 신청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하니,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1. 전북형 청년활력수당 사이트 접속
  2. 신청 자격 확인
  3. 회원가입
  4. 신청서, 구직활동계획서 작성 및 제출 서류 업로드
  5.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입력 후 시군 담당자 이메일 전송

전북형 청년활력수당 사이트에 접속한 모습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