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올해에 들어 오랜 기간 사용했던 카드를 잃어버리게 되면서 새로운 카드로 무실적 카드로 유명한 케이뱅크의 ONE 체크카드를 선택하여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것처럼 ONE 체크카드는 3가지 종류의 혜택 중 원하는 혜택을 선택하고 한 달의 기간 동안 선택한 혜택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혜택이 제공되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필자가 이용했던 케이뱅크 ONE 체크카드의 2가지 혜택을 비교하며, 이에 대한 후기를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케이뱅크 ONE 체크카드 혜택
앞서 언급한 것처럼 케이뱅크의 ONE 체크카드는 3가지 종류의 혜택이 제공되며, 이용자는 3가지 종류의 혜택 중 원하는 혜택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는데요. 우선 3가지 종류의 혜택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369 캐시백: 건당 7천원 이상 결제 횟수가 3의 배수가 될 때마다 1,000원 캐시백
- 모두 다 캐시백: 금액, 가맹점, 횟수와 관계없이 오프라인 0.7%, 온라인 1.2% 캐시백
- 여기서 더 캐시백: 건당 1만원 이상 결제 시 커피, 편의점 등 7% 캐시백, 통신 3사 5% 캐시백
혜택 2가지 비교 및 후기
케이뱅크 ONE 체크카드의 혜택은 월 단위로 3가지 종류의 혜택 중 원하는 혜택을 선택하여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데요. 필자의 경우 소비패턴에 적합한 혜택을 찾기 위해 2월에 369 캐시백 혜택을 이용한 후 3월에는 혜택 변경을 통해 모두 다 캐시백 혜택을 이용해 봤습니다.
여기서 각 달에 ONE 체크카드로 이용한 금액의 차이가 존재하긴 하지만, 최종적으로 받아볼 수 있는 캐시백은 큰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는데요. 아래의 이미지를 살펴보면 2월의 경우 약 48만원을 이용했고 4,000원의 캐시백을 받아볼 수 있었으며, 3월의 경우 약 85만원을 이용했고 약 7,000원의 캐시백을 받아볼 수 있었습니다.
어떻게 보면 369 캐시백 혜택이 조금 더 많은 금액의 캐시백을 받아볼 수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요. 그럼에도 369 캐시백 혜택은 7천원 이상 결제를 진행한 경우에만 캐시백을 받기 위한 조건이 활성화되고,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병원 진료 등 큰 금액을 결제하는 경우에는 모두 다 캐시백 혜택이 유리하기도 하기 때문에 필자는 결론적으로 모두 다 캐시백 혜택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각 혜택으로 받을 수 있는 캐시백은 비슷하나 결제 금액에 따라 어느 정도 차이가 존재하니 본인의 소비 패턴에 맞춰 혜택을 선택해 보시길 바랍니다.
케이뱅크 ONE 체크카드 혜택 변경 방법
1. 케이뱅크 앱을 실행한 후 홈 화면의 카드탭에서 ONE 체크카드를 선택합니다.
2. 카드 화면에서 '혜택 변경' 버튼을 선택합니다.
3. 혜택 변경 화면에서 변경할 혜택을 선택합니다.
4. 다음으로 혜택 안내를 확인하고 '다음달 혜택 변경하기'를 선택하면 혜택 변경이 완료됩니다.
※ 변경된 혜택은 다음 달 1일부터 적용됩니다.